일렉트릭기타 마이너 갤러리
[일반]
톤엑스의 톤을 조정하는 아주 기본적인 기능들 역할 소개
외노자
2025-05-27 11:06:00
조회 168
추천 10
원본 URL https://gall.dcinside.com/m/electricguitar/3578348
(저어는 그냥 프로그램 좀 다루고 레코딩 쪽 약간 취미로 했던 아조씨고 기타는 잘 못침
제가 알려드릴 수 있는건 약간의 기술적 방법론이고 좋은 톤을 딸깍하게 해드리진 못함..
사실 좋은 톤이라는게 사람마다 들리는게 다르고 기타, 픽업, 페달, 오인페, pa 장비, 스피커, 헤드폰 등등에 따라 다르고 개인의 연주력과 피킹 스타일 등등에 따라서도 달라지기 땜에
절대적으로 좋은 톤을 세팅 하나로 딸깍하게 만들어주는게 진짜 쉽지 않아요… 같이 공부했음 좋겠습니다)
어쨌든 시작하자면
톤엑스 페달 에디터 화면을 중심으로 설명할거긴 한데 톤엑스 플긴도 큰 차이는 없을거임
앰프 쪽 패러미터는 이렇게 쫙 있는데 이게 크게 3분류 정도로 나뉜다고 할 수 있음
1 인풋게인
2 3밴드 eq
3 프레젠스 뎁스 믹스 (아웃풋 볼륨)
이걸 나눠서 조금씩 설명하자면
1. 인풋게인
기타에 들어가는 신호의 세기를 약하게 또는 강하게 바꿔줌
앰프와 모든 이펙터는 y=f(x) 함수라고 볼 수 있는데 인풋단의 신호를 바꿔주는건 x 값을 바꾸는거라고 할 수 있음
당연히 약하면 볼륨이 약해지고 디스토션 걸리는것도 약해지고
강하면 볼륨이 세지고 디스토션도 세게 걸림
그런데 이게 문제가 뭐냐 1 기타마다 출력이 다르고 2 캡쳐하는 사람마다 제멋대로 인풋을 걸어놓도록 캡쳐 시스템이 되어있음
그래서 캡쳐를 만든 사람이 의도한 이상적인 소리를 찾으려면 1 그 사람이 어떤 기타를 써서 2 얼마만큼의 인풋게인을 걸었는지를 알아내서 3 내 기타와 내 피킹 강약에 맞춰 조정해야됨
이게 말이 되냐고? 안되지 그래서 그냥 내 감으로 적당히 맞추는게 맞음 ㅇㅇ 그래서 이게 만지다보면 뇌절에 뇌절이 되는 경우가 많은거임
약간의 팁이 있다면
1. 톤엑스 기기의 기본 인풋게인(인풋트림) 세팅은 +8.5임
2. 아말감 오디오의 캡쳐는 출력이 낮은 빈티지 스트랫 기타 기준 8.5 정도에서 맞춰서 만들어짐
3. 양형들 정보에 따르면 스트랫과 레스폴을 쓸때 대충 플러스마이너스 5 정도의 차이가 있는듯함
4. 많은 고수 이부이들이 이미 말했지만 앞단에 드라이브 페달을 써서 사운드를 만드는 페달 플랫폼으로 쓰고 싶다면, 게인 스테이지가 높은 쪽에서 인풋게인을 낮춰서 쓰는걸 추천함
예를 들어 페달 없을때는 클린, 드라이브페달 넣고 크런치 톤이 되는 릭을 만들고 싶다 하면 클린 캡쳐를 쓰지 말고 크런치 톤에서 인풋게인을 다소 낮춘 후 쓰시라는 거임
이러면 게인스테이지를 오가는게 조금 더 자연스럽고 크랭크업도 이쁘게 잘 묻음
2. 3밴드 eq
일단 이 그룹에서 맨 오른쪽을 보면 pre 또는 post를 설정할 수 있는데 이건 앰프로 들어가는 신호(pre)를 바꿀거냐 앰프 이후의 신호(post)를 바꿀거냐의 차이임
좀 더 직관적으로 설명하자면 pre는 내 기타의 특징을 바꾼다고 생각하면 되고 post는 앰프에서 나오는 소리를 바꾼다고 생각하면 됨
그리고 그 다음 왼쪽을 보면 보통 앰프에 달려있는 베이스 미드 트레블 노브가 있고 hz가 한개씩 더 붙어있는데 이게 특정 주파수 영역대를 설정할 수 있는거임
또 보면 미드 쪽에만 q가 하나 달려있는데 이건 hz 값 기준으로 얼마나 넓고 좁게 조정할지 범위를 설정하는거임
아예 잘 모르겠다면 추천 설정 알려드림
1 포스트로 두고
미드는 보통 기타의 미드 영역대인 750-800이나 좀 더 강렬하게 들리는 1000 정도로 놓고 q값은 2 정도로 일단 두고 조금씩 내리거나올려가며 써보시고,
트레블은 4k를 3 정도로 낮추시고
베이스는 80에서 3 정도로 낮춰보세요
2 프리로 두고
내 기타가 스트랫인데 험버커처럼 뚱뚱한 소리를 내고 싶다 하면 pre로 두고 미드 750에 +2db 정도 놓아보시고
반대는 -로 깎아보십셔
3. 프레젠스 뎁스 믹스
믹스는 그냥 100프로로 두면 되고 (듀얼 앰프 직렬을 병렬처런 쓰라고 만든거같은데 음)
프레젠스 뎁스는 패러매트릭 eq 역할을 하는데
쉽게 말해 저음역대와 고음역대를 완만하게 쭉 깎거나 늘려주는 역할을 함
이게 프레젠스인데 보시면 1k부터 서서히 늘리거나 깎음
이건 뎁스인데 75hz부터 서서히 늘리거나 깎음
이게 존재하는 이유는
1 뎁스는 실물 앰프 캐비닛은 재생하지 않는 저영역대가 스피커의 물리적 부밍으로 인해 캡쳐에 포착되는 경우 이걸 낮춰서 쓰라는 도구로 주어진거
2 프레젠스는 파워앰프 쪽에서 나오는 고음역대의 소리 + 마찬가지로 실물 앰프 캐비닛은 재생하지 않는 초고음역대 소리를 조정하라고 있는거
저어는 뎁스는 3 정도로 낮추고 프레젠스는 4-5 정도 낮춰서 쓰는데 괜찮다면 굳이 만지지 않는걸 추천함
여기에 느껴지는 개인차가 심하고 또 스피커/헤드폰/공연장 연습실pa/앰프 등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이거 신경 잘 써야 하심
마지막으로 볼륨인데… 이상하게 di 캡쳐는 캐비닛 캡쳐보다 음량이 작은거같아 저는 di 캡쳐 쓸땐 풀볼륨 땡기고 거기에 포스트 컴프레서 메이크업 게인까지 씁니다
컴프레서 쪽 설정인데… 트레숄드는 아주 살짝만 걸어서 실물 앰프에 존재하는 자연스러운 컴프감을 약간 향 첨가해주고
볼륨은 좀 크게
어택은 너무 낮으면 피킹 뉘앙스를 뭉개버리니 2-3 정도로 주는 편임
좀 두서없긴 한데 일단 적긴 적었음요 궁금한거 있음 댓글로 달아주시고
고수분들 첨언하실것도 적어주면 초보들에겐 도움 많이 될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