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렉트릭기타 마이너 갤러리
[💡정보]
[화성학] #3 모드 부분에서 화성학 책 덮었으면 개추ㅋㅋ
화성학을 공부하다보면 반드시 만나게 되는 '모드 스케일'....
(...)
- 그래도 어디가서 아는 척이라도 할 수 있게 얕게라도 알아보자.
사실 모드라는 개념이 먼저 등장했고 코드라는 개념이 나중에 정립됐다.
사실 모드는 메이저 스케일과 마이너 스케일보다 먼저 존재했다는 거임...
기본적으로 모드라는 것은 선율 중심적으로 바라보겠다는 것임. 왜냐면 옛날에는 코드라는 개념이 없었거든...
그래서 모드는 선율의 '분위기'를 나타낸다고들 많이 해
쨌든 그러다가 현대에 와서 모드와 코드라는 개념을 통합해서 쓰게 된 것이야...
그래서 위 짤을 볼 때 코드 관점으로 보면 안됨.
그러니까 G믹소리디안은 G키인데 왜 파# 안되어있음?이라고 물어보면 그거는 코드 관점으로 바라봐서 개념을 잘못 이해한거임....
저 짤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면
우선 바탕은 C키임. 그리고 '도레미파솔라시' 이 순서를 C아이오니안이라고 정했음
근데 관점을 달리해서 '레미파솔라시도', 즉 D부터 시작하게 하면? 그게 바로 D도리안이라고 부르는 거임
미부터 시작하게하면? E프리지안 등등...
그런 식으로 나머지를 이해하면 되는 거임.
(근데 이거 알아서 어떻게 씀?)
- 나도 사실 잘 모르겠음... 그치만 책에 있는 내용 조금 해설 좀 해보겠음....
첫번째 진행의 Em 코드 단락을 봐보셈.
C키로부터 파생된(위 짤 참고) E 프리지안의 음들로 멜로디가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음...
저자가 모드를 바꾼 두번째 진행을 봐보셈.
D키로부터 파생된 E도리안 스케일을 가져와서 멜로디 진행도 바뀜...
그래서 두번째 진행에서 Em코드 부분의 멜로디가 D키처럼 도가 도#이 되고 파가 파#이 됐지?
그러니까 하나의 코드도, 모드를 사용하게 되면 분위기를 다르게 써먹을 수 있는 거임.
대충 이런 식으로 모드를 활용하는 거임
결국 현대음악에서는 모드나 코드나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임.
모드는 나도 어려워서 더 설명은 못하겠음
그래도 이 글이 도움이 됐으면 좋겠음...
마지막으로 화성학 채널 하나 추천하고 감 으흐흐
https://www.youtube.com/@SethMonahan
영어채널이긴 하지만 확실히 도움 될 거임
힘내서 나중에는 재즈화성학도 공부해보자
감사합니다.
질문은 하지 말아주세요 저도 잘 모르거든요.